광고
광고
로고

어렵게 등재한 유네스코 세계유산, 제대로 활용하고 있나?

김진혁기자 | 기사입력 2019/12/13 [13:30]

어렵게 등재한 유네스코 세계유산, 제대로 활용하고 있나?

김진혁기자 | 입력 : 2019/12/13 [13:30]

 

▲ 우리나라에서도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11가지 유산     © 김진혁기자

 

-제주 자연유산 등재 이후 각 지자체 신청 잇따르지만 활용전략이나 방안 부재 꼬집어

 

[코리안투데이=김진혁기자] 13일 국회 의원회관 8간담회의실에서  열린 <세계 유산, 유네스코 등재 이후 전략과 활용 방안> 세미나를 개최했다.

 

▲ 오영훈 더불어민주당 정책위 상임부의장     © 김진혁기자

 

이날 세미나는 오영훈 더불어민주당 정책위 상임부의장과 한국유네스코제주협회 이선화, 공동 토론회,를 개최했으며, 유네스코 한국지부, 국내 유일의 세계자연유산인 화산섬과 용암동굴의 제주 측 참석자들은 한결같이 민간 부문의 참여와 협력 부재와 지자체와 정부의 인식과 지원 문제를 거론했다.

 

우리 정부와 지자체가 어렵게 우리 유산을 유네스코(UNESCO·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 세계유산에 등재해놓고도, 활용 전략과 방안이 없어 그 효과를 제대로 누리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등재 신청과 허가 당시에는 떠들썩하지만 사실상 지역에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는 목소리다. ‘글로컬 시대 유네스코 세계유산의 의미와 보전·활용 동향’이라는 주제 발표를 한 한남대 건축학과 한필원 교수는 “1년 혹은 2년에 하나가 선정되는 유네스코 등재 신청을 위한 국내에서의 경쟁은 치열하다”면서도, “우리 정부와 지자체, 지역주민 간의 갈등이 커지고 있고, 관광과 연계되지 않아 지역 경제에도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제주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세미나 진행자인 김방희 생활경제연구소장은 “2007년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돼 제주가 글로벌 브랜드가 될 기반은 얻었지만 오히려 특정 지역 주민들과 재산권 침해 논란만 커지고 있다”면서, “반면 전체 제주는 실질적으로 과잉개발로 몸살을 앓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는 형식과 내용이 전도된 역설적 상황일 뿐만 아니라 당초 유네스코 세계유산의 취지도 아닐 것이라는 주장이 있었다.

 

우리나라는 현재까지 세계자연유산 1개에 세계문화유산 13개, 세계기록유산 16개, 세계무형문화유산 21개 등 유네스코 등재 세계유산을 다수 보유하게 됐다.

 

특히 내년에는 호남 4개 지자체가 중심이 돼 그간 추진해온 갯벌의 자연유산 등재 여부가 판가름 난다. 또한 비무장지대(DMZ)와 가야 고분군 등도 등재 신청을 추진중이다.

 

이런 와중에 제주는 세계자연유산에 대해서는 활용방안 중심의 2단계 10년 종합계획을 수립할 계획이고, 우리 정부도 세계유산과 연계한 관광산업 활성화 방안을 마련 중이다.

 

세계유산은 지난 1959년 이집트의 아스완댐 건설을 계기로 벌어진 유적 보존 사업을 시작으로, 1970년대 초 유네스코가 세계유산협약을 맺어 지정·육성한 이 국제기구의 대표 글로벌 브랜드다.  

  • 도배방지 이미지

어렵게 등재한 유네스코 세계유산, 제대로 활용하고 있나? 관련기사목록